새소식

Algorithm/Programmers

[Programmers] 튜플(Java)

  • -
 

프로그래머스
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
programmers.co.kr

문제

더보기

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(tuple)이라고 합니다.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-튜플(n-tuple)이라고 하며,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(a1, a2, a3, ..., an)

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1.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. ex : (2, 3, 1, 2)
  2.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,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. ex : (1, 2, 3) ≠ (1, 3, 2)
  3.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.

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, 중복되는 원소가 없는 튜플 (a1, a2, a3, ..., an)이 주어질 때(단, a1, a2, ..., an은 자연수),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'{', '}'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{{a1}, {a1, a2}, {a1, a2, a3}, {a1, a2, a3, a4}, ... {a1, a2, a3, a4, ..., an}}

예를 들어 튜플이 (2, 1, 3, 4)인 경우 이는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
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. 이때,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

  • {{2}, {2, 1}, {2, 1, 3}, {2, 1, 3, 4}}
  • {{2, 1, 3, 4}, {2}, {2, 1, 3}, {2, 1}}
  • {{1, 2, 3}, {2, 1}, {1, 2, 4, 3}, {2}}

는 모두 같은 튜플 (2, 1, 3, 4)를 나타냅니다.

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더보기
  • s의 길이는 5 이상 1,000,000 이하입니다.
  • s는 숫자와 '{', '}', ','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.
  •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.
  •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.
  •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,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  •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.

입출력

더보기
s result
"{{2},{2,1},{2,1,3},{2,1,3,4}}" [2, 1, 3, 4]
"{{1,2,3},{2,1},{1,2,4,3},{2}}" [2, 1, 3, 4]
"{{20,111},{111}}" [111, 20]
"{{123}}" [123]
"{{4,2,3},{3},{2,3,4,1},{2,3}}" [3, 2, 4, 1]

 

풀이

접근

처음 문제를 접하고 30분 정도 멍때렸던 문제였다.

 

첫 번째로 입력값이 String 형이라 이를 어떻게 꺼내서 정렬할지가 고민이였다.

{}로 감싸져 있었기에 스택으로 담았다가 꺼내어서 배열에 저장하는 방식인가? 생각했지만 이건 너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고,

중간에 },{ 이 부분을 가지고 나누면 된다고 생각했지만 문자열 길이로 하자니 막막했다.

 

이를 replace 활용해서 치환해야겠다고 먼저 판단했다.(이를 생각하는 부분이 가장 어려웠다 ㅜㅜ)

 

두 번째로 치환 후에는 튜플의 원소 순서가 문제였다.

원소 순서가 고정인 줄 알고 원소를 크기 별로 정렬만 하고 길이가 제일 큰 원소를 정답으로 도출하면 되겠다고 판단했다.

근데, 튜플의 원소 순서가 달라도 같아 고민을 하다가 어차피 원소 크기가 1 ~ n까지 있을때 1은 무조건 시작점이니 시작점부터 n까지 비교하며 차례차례 담기로 생각하고 문제를 풀었다.

 

코드

import java.util.*;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[] solution(String s) {
        // data set
        s = (s.replace("},{", "_")); // 치환
        s = s.substring(2, s.length()-2); // 앞 뒤 {{ / }} 제거
        String[] arr = s.split("_"); // 배열로 변경
        Arrays.sort(arr, (String s1, String s2) -> s1.length() - s2.length()); // 정렬
        
        // Logic
        ArrayList<Integer> list = new ArrayList<>();
        
        for(String str : arr) {
            String[] target = str.split(","); // 개별 숫자 담기
            
            for(int i = 0; i < target.length; i++) {
                // 현재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으면 추가하기
                if(!list.contains(Integer.parseInt(target[i]))) {
                    list.add(Integer.parseInt(target[i]))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
        // create answer
        int[] answer = new int[list.size()];
        for (int i = 0; i < list.size(); i++) {
            answer[i] = list.get(i);
        }
        
        return answer;
    }
}

 

배운점

1. 입력값이 내 입맛대로 주어지지 않았을 때, 어떻게 바꿔야할지 빠르게 생각하는 습관을 가지자.
2. split을 사용할때 replace를 활용한 치환도 같이 꼭 고민해보자.

'Algorithm > Programmer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Programmers] 정수 삼각형(Java)  (0) 2023.12.09
[Programmers] 타겟넘버(Java)  (0) 2023.12.09
[Programmers] 프로세스(Java)  (1) 2023.10.21
[Programmers] 캐시(Java)  (3) 2023.10.21
[Programmers] 의상  (2) 2023.10.19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